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lutter #Stream
- flutter #dart #stream
- 조립 후 재부팅
- 희망적금전환
- 플러터 #안드로이드 #플레이콘솔 #앱내리기
- 도약전환
- 희망적금연계
- 도약연계
- 도약계좌전환
- 안드로이드 #코틀린 #코루틴 #콜백 #채널
- Flutter #Stream #dart
- 청년도약계좌환승
- Today
- Total
Flutter 개발 상자
청년희망적금, 도약계좌로 연계하는게 좋을까? 본문
선결론
전 비추천합니다.
연계했을때 더 좋은경우도 있지만 일단 대부분의 케이스가 연계했을때 별로일겁니다.
일단 도약계좌로 연계하면 어떻게 되는지부터
저도 처음에 햇갈린 부분인데
연계시 18개월 납입 인정 후 바로 19회차 도입이 아니라 만기는 5년 그대로고 일시납 기간을 설정하면 그 기간동안 납입이 면제되는 방식입니다.
이게 진짜 요약하기 힘들고 꼼꼼히 정독해도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인데 일단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logfsc/223330262398
뭐 내용이 어쨌든 전 연계 비추천파이니 왜 비추천하는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당장의 천만원은 나의 전세집을 마련해줍니다.
청년희망적금을 드신분들의 대부분이 사회생활 5년 미만의 초년생분들일겁니다.
그렇다면 슬슬 본가를 떠나서 자취를 하는 경우가 많을텐데
다행히도 한국에서는 희망적금처럼 청년을 지원하는 제도가 꽤 많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면 주거 비용을 확 줄일 수 있습니다.
그중 중기청버팀목전세대출을 받게되면 연 이자 1.5%라는 파격적인 이자로 최대 1억을 땡길수가 있는데 이를 통해서 1억원대의 전세집을 들어가서 월 10만원 초반대의 이자만 내고 월세보다 훨씬 저렴하게 주거비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이 아니신분들은 청년버팀목 전세대출을 받으면 됩니다. 이 역시 이자가 낮은편에 속합니다.)
중기청대출은 100% 상품과 80% 상품이 있는데, 100% 상품은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이 80%로 가는데 문제는 이 20%는 내가 현금으로 준비해야한다는 것 이죠. 보증금 1억인 집을 가려면 2천만원이 필요합니다. 이 2천만원의 자본금이 있는사람과 없는사람의 차이는 엄청납니다.
서울에서 월세를 아무리 싸게 구해도 최소 월 50은 줘야하기때문에 중기청을 받은사람에 비해 한달에 최소 35만원정도 고정비용이 더 발생하는것이고 2년이면 840만원이 차이납니다. 돈이 돈을 모은다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또한 중기청이 아니더라도 청년역세권, 행복주택 등등의 여러 임대주택 상품들 역시 일정 금액의 보증금이라는게 반드시 필요하며, 보증금을 내고도 목돈이 남는다면 '상호전환' 이라는 제도를 통해서 보증금을 더 내면 월 임대료를 깎아주는 제도를 통해서 목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중도 해지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도약계좌를 중도해지 하더라도 노패널티인 조건은
가입자의 사망,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그리고 생애최초 주택구입입니다.
어떤가요? 생애최초 주택구입 빼고는 나의 불행과 관련된 것이고
생애최초 주택도 주택 구입자금으로 쓸 수 있는게 아니라 주택 구입 이후에 해지가 가능한거라 서순의 문제가 있습니다.
올해부터 출산, 결혼시 해지가능하게 만든다고는 하는데 이부분도 명확하게 나온게 없기때문에 애매합니다.
예를 들자면 이미 결혼을 했고, 출산까지 한 상태에서 더이상 2세 계획이 없을때 이사람들은 어떻게 할지?
신규 결혼이나 출산은 인정되고, 그전에 이미 끝낸사람들은 인정이 안된다면 이부분도 또 시끄럽겠죠. 이부분도 조건이 까다로울것같은 느낌입니다.
하지만 도약계좌가 충분히 좋은 제도이기 때문에 신규가입은 추천합니다.
도약계좌가 참 말이 많은데요.
여러 사람들이 오해하는것중에 하나가
아니 ㅋㅋ 어떻게 사회초년생들이 월70내면서 5년을 버티냐!
이거인데요. 사실 월70을 낼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중도납입을 안해도 계좌가 유지되기 때문에 그냥 만들어두고 여유가 되는 자금만 넣는 용도로 쓰셔도 됩니다. 마치 연금저축을 하듯이 느긋하게 소액만 넣으면서 장기적인 저축 플랜을 세우다가 여유가 생기면 정부기여금 한도만큼 납입 하는 전략을 세우면 좋습니다.
월50 월70을 넣어야만 정부 기여금이 생기거나 납입금액이 적다고 정부 기여금이 적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기여금 한도 이상으로 저축하면 효율이 더 떨어지면 떨어졌지 금액을 적게 넣는다고 이자율이 적어지진 않습니다.
따라서 5년이라는시간, 전혀 부담스럽게 생각 안해도 됩니다. 그냥 희망적금 목돈은 필요할때 쓸 수 있도록 잘 간직하시고, 도약은 신규로 가입해두고 필요할때 활용하면됩니다.
그리고 도약계좌는 일정기간 유지시 신용등급이 오르는 효과도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www.fsc.go.kr/no010101/81550?srchCtgry=&curPage=&srchKey=&srchText=&srchBeginDt=&srchEndDt=
그럼 어떤 경우에 연계하는게 좋을까?
1. 정말 5년동안 목돈이 필요없을것같다.
어쨌든 도약계좌는 꾸준히 납입했을때 이자율이 좋은편이고, 일시납 기능을 이용하면 월마다 적금을 붓는것이 아닌 예금을 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자를 약 2배 더 챙길 수 있습니다.
(예금이 적금보다 이자가 약 2배 더 높은 이유는 한번 찾아보시면 바로 나옵니다.)
2. 이미 모아둔 목돈이 꽤 크다.
모아둔 돈이 이미 1~2억정도 되서 천만원 가량의 목돈이 묶이는거 정도는 감수할 수 있다면 이 역시 연계를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 현 시점에서 이만한 예적금 상품이 없기 때문이죠.
3. 연봉의 급격한 상승이나 청년 나이가 지나버려서 신규가입이 어려울 경우에도 전환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이부분은 정확하게 알진 못하는데 2024년도 들어서 가입조건이 상실됐다면 신규가입은 안되지만 연계가 가능한지 한번 알아보시고 가능하다면 연계를 통해서 가입을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어쨌든 도약계좌는 가져가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정리
1. 위와같은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연계를 하지 말자.
2. 연계 안해도 도약계좌는 무조건 만드는게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