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도약전환
- 희망적금전환
- 희망적금연계
- Flutter #Stream
- 청년도약계좌환승
- 플러터 #안드로이드 #플레이콘솔 #앱내리기
- 조립 후 재부팅
- 도약연계
- 안드로이드 #코틀린 #코루틴 #콜백 #채널
- flutter #dart #stream
- 도약계좌전환
- Flutter #Stream #dart
- Today
- Total
Flutter 개발 상자
[Vue] CDN과 NPM은 무엇이고, 뷰 애플리케이션 생성시 차이점은 무엇인가? +Vita 본문
CDN의 정의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 전 세계 여러 서버에 콘텐츠를 분산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더 빠르게 제공하는 네트워크
- 주로 웹 페이지의 정적 자산 (이미지, CSS, JavaScript)을 전송하는데 사용됨
- 주요 목적은 콘텐츠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서버 부하를 줄이는데 있음
CDN의 문제점
1. CDN의 서버 의존성 : 외부 CDN을 사용할 경우 CDN서버가 다운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웹 사이트 성능이 저하되거나 콘텐츠가 로드되지 않을 수 있음.
주요 사례 - https://news.hada.io/topic?id=14613
2. CDN 지역적 가용성 문제 : CDN는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지만 모든 CDN 제공자가 전 세계 모든 지역에 동일한 수준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지 않아 일부지역에서는 성능이 낮아질 수 있음
NPM의 정의
NPM (Node package Manager)
- JavaScript와 Node.js 패키지를 설치하고 버전을 관리
-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모든 패키지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관리하고 설치
- 자신이 작성한 패키지를 NPM 레지스트리에 배포하여 다른 개발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함
CDN과 NPM의 차이
CDN으로 뷰 애플리케이션 설치
- CDN은 별도의 개발환경 없이 script 태그만 추가하여 뷰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적용할 수 있음
- 개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직접 추가해야하고 의존성 관리도 직접 해야함
- HTML과 함께 사용해야하여 모듈화가 필요한 대규모 프로젝트에는 부적합함
- Vue SFC(싱글 파일 컴포넌트, Html, JavaScript, CSS를 한 파일에 결합하는것) 를 사용할 수 없음
NPM으로 뷰 애플리케이션 설치
- 사전에 설치해야하는 과정이 번거롭다
- 프롬프트(prompt)를 이용하여 뷰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세부 설정을 할 수 있다.
- 패키지에 대한 의존성 관리가 쉽다
Vite와 NPM의 관계
Vite의 역할
- Vite는 개발 서버 제공, 프론트엔드 빌드, 최적화된 프로덕션 빌드를 생성
- 개발 환경에서 빠른 번들링과 HMR(Hot Module Replacement)를 제공
- ESM(ECMAScript Modules)을 사용해 필요한 모듈만 로드하므로 개발 시 번들링 없이 매우 빠른 초기 로딩 속도를 제공함
- 프로덕션 빌드시에는 Rollup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번들을 생성
Vite와 NPM의 관계
- Vite는 NPM을 통해 설치된다.
- Vite가 동작하는 동안에도 패키지는 NPM을 통해서 관리된다.
- Vite는 개발서버 제공과 프로젝트 빌드를 담당하고 NPM은 패지키와 빌드 도구(Vite)를 관리함
'Web > V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Vue] package.json 분석 (1) | 2024.09.20 |
---|---|
[Vue] 프로젝트 생성시 npm install을 왜 해야하는가 (0) | 2024.09.20 |
유데미 프로젝트로 쉽게 배우는 Vue.js 3 기본편 완강 후기 (0)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