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희망적금연계
- Flutter #Stream #dart
- 희망적금전환
- 안드로이드 #코틀린 #코루틴 #콜백 #채널
- 조립 후 재부팅
- 플러터 #안드로이드 #플레이콘솔 #앱내리기
- flutter #dart #stream
- 도약계좌전환
- 도약연계
- Flutter #Stream
- 도약전환
- 청년도약계좌환승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84)
Flutter 개발 상자

인공조명으로 자연광을 만든다는것 인공조명으로 자연광을 만드는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가장 중요한건 언제 어디서든 내가 원하는 환경 세팅을 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테크닉이라고 본다. https://blog.naver.com/liya0922/223338133132 위의 내가 눈여겨 본 사진작가의 블로그를 보면 이 작가는 어느 환경에서든 내가 원하는 조명 세팅을 하는것에 굉장히 능숙하며 그것을 위한 기초적인 베이스 테크닉으로 자연광을 만드는것을 매우 중요시하는걸 볼 수 있다.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사실 저 블로그 글을 둘러봐도 정확히 이렇게 해라! 라는 글은 잘 없다. 저 블로그는 기본적으로 A-Z를 순차적으로 설명해주는 블로그는 아니다. 그때그때 떠오른 영감과 경험을 적는 스타일이라 어느글은 상세한 설명..

참고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mfVNGK9D_b8 위의 유튜브 영상을 기반으로 고속동조에 대해 GPT와 구글링 정보를 정리해보았다. 용어정리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 : 두 개의 막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셔터가 열리면서 첫 번째 막(선막)이 센서를 노출시키고, 두 번째 막(후막)이 닫히면서 노출을 종료함. DSLR 및 미러리스 카메라에서 많이 사용됨동조 속도 (Sync Speed) : 카메라의 셔터가 완전히 열리는 순간(첫 번째 막과 두 번째 막이 모두 열려있는 순간)에 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셔터 속도. 보통의 포컬 플레인 셔터는 최대 1/250초의 동조 속도를 갖는다.리프 셔터(Leaf Shutter) : 렌즈의 내부에 위치한 여..

https://blog.naver.com/liya0922/223524799006?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SMDV B120, B240 VS GODOX AD100pro , AD200 by makus pix, SMDV 와 고독스 플래시 비교출력이 SMDV B240 = AD100 PRO ???? 마커스 픽스가 아마도 북미쪽 SMDV 유통사에서 리...blog.naver.com - 이 글은 위의 블로그 내용을 리뷰하며 조명에 대해 공부하는글 입니다. 위의 블로그 내용은 SMDV와 고독스의 플래시제품을 리뷰하는 유튜브 영상을 리뷰하는 내용이다. 그걸 또 리뷰하니 리뷰의 리뷰의 리뷰글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일단 블로그 서론 부분을 GPT를 통해 요약했다. 마커스는 고독스..
미러리스 카메라를 잡기 시작한건 올해초부터이다. 자세한 내용은 말하기 좀 그렇지만 특별한 계기를 통해서 디지털카메라를 통한 사진에 꽂히게 되었고 주로 코스프레 인물사진을 찍으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막상 사진기를 사용하는건 한달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하다보니 배움에 대한 속도가 뎌뎠고 특히 '어디서 사진에 대한 지식을 얻어야 하는가?' 에 대한 의문이 많았다. 물론 유튜브에는 많은 지식이 이미 많이 깔려있다. 하지만 유튜브는 항상 내가 진짜 원하는 내용을 찾기위한 여정이 어렵다. 그렇다면 사진과 관련된 커뮤니티는 어떨까? 커뮤니티에 질문을 하는건 한계가 있다. 나도 커뮤니티를 하다보면 소위 말하는 '질문충' '핑프' 유저는 꼴보기가 싫다. 질문을 하기 위해선 그 커뮤니티에 녹아들어야한다. 일상얘기, ..
기본 코드 분석 (Vite){ "name": "vue-project", "version": "0.0.0", "private": true, "type": "module", "scripts": { "dev": "vite", "build": "vite build", "preview": "vite preview" }, "dependencies": { "vue": "^3.4.29" }, "devDependencies": { "@vitejs/plugin-vue": "^5.0.5", "vite": "^5.3.1" }} - name : 뷰 애플리케이션의 이름- version : major.minor.patch- private : 외부 공개 여부- scripts : 뷰 ..

CDN의 정의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전 세계 여러 서버에 콘텐츠를 분산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더 빠르게 제공하는 네트워크- 주로 웹 페이지의 정적 자산 (이미지, CSS, JavaScript)을 전송하는데 사용됨- 주요 목적은 콘텐츠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서버 부하를 줄이는데 있음 CDN의 문제점 1. CDN의 서버 의존성 : 외부 CDN을 사용할 경우 CDN서버가 다운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웹 사이트 성능이 저하되거나 콘텐츠가 로드되지 않을 수 있음. 주요 사례 - https://news.hada.io/topic?id=14613 2. CDN 지역적 가용성 문제 : CDN는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지만 모든 CDN 제공자가 전 세계 모든 지역에 동일한 수준의 인프라를 갖추..

npm create vs npm install npm create : 뷰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생성하는것- 뷰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폴더나 파일, 필요한 패키지 정보(package.json)를 설치해줌- 패키지 자체 (node_modules 폴더) 를 설치해주진 않음 npm install : 뷰 패키지를 설치하는것- 패키지 자체 (node_modules 폴더) 를 설치하며 패키지 정보는 package.json에 기록됨
GoRouter의 장점 이거 왜 쓰나요? 이유는 그거죠. 구글에서 관리하는 Nav2 공식패키지니까.그리고 라우터 패키지중 따봉수 1위고, 검색하면 수많은 레퍼런스가 나오니까. GoRouter의 단점 근데 쓰다보니까 음...구글에서 관리한다는게 막 엄청난 장점은 아니더라구요? 일단 여러명의 구글 직원이 관리하다보니 하나의 PR이 반영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한명이 코드리뷰하고 또 다른사람이 코드리뷰하고... 이게 또 실제 릴리즈 버전에 올라가기까지 또 시간이 걸리고...실제로 GoRouter 초기에 가장 많은 비판을 받았던 shellRouter의 상태가 저장이 되지 않는 문제의 경우 PR이 만들어지고 반영되기까지 거진 1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렇게해서 나온게 statefulShellRout..